2013. 4. 3. 16:36ㆍ프로그래밍/C언어 TIP
◎ 자료형 컴퓨터 내부에 메모리는 정수, 실수등을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Data Type이 필요하다. 각 데이터의 저장형식은 메모리의 저장공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. 정수형에는 char(1byte를 할당), short(2byte를 할당), int(4byte를 할당)가 있다.
․ 워드 워드를 설명하기 앞서 CPU(레지스터)와 Memory사이에 데이터가 오고 가는 통로를 버스라고 한다. 32비트 컴퓨터의 경우 CPU(레지스터)가 Memory로 한꺼번에 보낼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32비트 즉, 4byte를 보낼 수 있다. 그것을 워드라고 한다. 정확히 말하면 CPU(레지스터)가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크기를 말하는 것이다.
․ 토큰 토큰은 의미있는 조각으로 나눠진 최소단위를 얘기한다. 식별자는 변수나 함수의 이름처럼 프로그램 내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만들어 사용하는 토큰들을 말한다. : 선언기법 첫글자는 알파벳이나 밑줄이 올 수 있다. 그 뒤에는 영어, 숫자, 밑줄이 올수 있다. 하나의 식별자는 보통 200문자까지 허용된다. char cScore; //앞에 c를 붙혀 char라는 data type을 확인할 수 있고, score라는 점수 변수도 쉽게 파악이 된다. 유사 기법으로는 char c_score;라고 선언할 수도 있다.
․ print문 |
◎ 오늘의 실습예제 숫자 100을 10진수, 16진수, 8진수로 화면에 출력 #include <stdio.h> int main() { int cNum; cNum = 100; printf("%d\n",cNum); //10진수 decimal의 약자 : d를 쓴다 printf("%x\n",cNum); //16진수 hexadecimal의 약자 : x를 쓴다 printf("%o\n",cNum); //8진수 octal의 약자 : o를 쓴다
return 0; } 출력결과 화면 |
'프로그래밍 > C언어 T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303/연산자. 형변환(type casting). (0) | 2013.04.03 |
---|---|
201303/문자형. 문자열. (0) | 2013.04.03 |
201303/실수형. 형식지정자 %u. (0) | 2013.04.03 |
201303/정수형. scanf()함수. sizeof()연산자. (0) | 2013.04.03 |
201303/보수/1의보수와 2의보수 (0) | 2013.04.03 |